간은 우리 몸의 영양소를 저장하고 해독, 살균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로 체내에 유입되는 생활 독소와 노폐물을 약 75% 이상 담당하고 있습니다. 간 무게에 5%가량의 지방이 축적되면 지방간으로 진단하는데, 이 단계가 넘어가면 지방간염에서 간경화, 간암으로 이어집니다.
지방간이라고 진단을 받았다면 반드시 식이요법과 운동 등으로 개선해야합니다.
원인
'음주와 관련된 알코올성 지방간'과 '복부 비만 관련 비알코올성 지방간'으로 분류합니다.
- 알코올성 지방간
- 섭취하는 알코올량이 많고 기간이 길수록 위험이 증가
- 유전적 요인과도 관계있고 개인차도 심함
- 아직 간경변으로 진행되지 않았다면 금주로 정상 회복이 가능 - 비알코올성 지방간
- 지방이나 탄수화물을 많이 먹는 경우 발생
- 과체중이나 복부 비만이 심한 경우
- 당뇨, 이상지질혈증, 대사증후군 등과도 연관성 있음
증상
증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는 무증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간이 나빠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르고 지나쳐 간 건강의 악화를 초래합니다.
피로감과 전신 권태감, 두통, 오른쪽 상복부의 통증 등 증상과 심한 경우 식욕감소, 구역감, 체중감소 등의 증상으로 병원에 방문하는 경우는 이미 간 손상이 많이 이루어진 후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따라서 위의 증상이 의심되거나 간질환의 위험군에 해당한다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건강 관리에 유의하셔야 합니다.
검사방법
병원에 내원해 문진, 신체검사를 통한 비만 여부를 확인하고 혈액 검사, 초음파 검사 및 CT 검사, 간 조직 검사가 있습니다.
- 혈액검사
-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로 간 기능을 측정 - 복부 초음파 검사
- 지방간 진단에 꼭 필요한 검사로 초음파를 통해 진행 정도를 나눌 수 있음
- 지방의 양이나 지방간염 혹은 간경변증의 진행 여부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움 - 복부 CT 검사
- 초음파 검사보다 간 내의 혈관이 잘 보임
치료방법
- 알코올성인 경우 금주, 비알코올 성인 경우 다이어트
- 체중의 5kg 감량 → 간 내 지방량 감소
- 체중의 7~10% 이상 감량 → 간 내 지방침착, 염증 및 간섬유화 호전 - 식이요법
- 총 에너지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 (하루 에너지 권장량보다 25% 정도 줄여서 섭취)
- 영양소의 구성비율 (저지방 식이, 탄수화물 섭취 비중 줄이기, 과당 섭취가 많은 과자나 음료수 섭취 제한) - 운동요법
- 규칙적인 운동은 간 내 지방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저항성 감소
- 일주일에 2번 이상, 최소 30분 이상 운동 권장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절염 초기증상 및 좋은음식 (0) | 2021.11.06 |
---|---|
남성 갱년기 증상 및 남성 호르몬 올리는 방법 (0) | 2021.10.17 |
골다공증 증상 및 검사 방법 & 비용 (0) | 2021.10.12 |
백내장 원인 및 증상, 수술비용 (0) | 2021.10.06 |
뇌졸중 초기 전조 증상 및 검사방법 (0) | 2021.10.05 |
댓글